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💡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고용보험은 실업 시 소득을 보전하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보장 제도입니다. 하지만 보험료 계산 방식은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죠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고용보험료 계산법을 근로자, 사업주, 예술인 등 유형별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 💼📊


    💡 1. 고용보험료 기본 구조

    고용보험료고용보험료 기본고용보험료 기본 구조고용보험료 기본 구조 형식

     

     

    고용보험료는 크게 두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.

    구분부담 주체설명
    실업급여 보험료 근로자 + 사업주 일반 근로자 대상 실업 대비 목적
   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 부담금 사업주만 부담 정부 고용 정책 및 훈련 예산 목적

    👉 근로자는 실업급여 보험료만 부담하며, 사업주는 두 가지 모두 부담합니다.


    🧮 2. 고용보험료 계산법 – 근로자 & 사업주

    ✅ 실업급여 보험료율 (2025년 기준)

    • 근로자 부담: 0.9%
    • 사업주 부담: 0.9%
    • 총 부담율: 1.8% (근로자 + 사업주 합산)

    ✅ 고용안정·직업능력개발 부담율 (사업주만 부담)

    사업장 규모부담율
    150인 미만 0.25%
    150인 이상 ~ 1,000인 미만 0.65%
    1,000인 이상 0.85%

    👉 기업 규모에 따라 부담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

    🧾 예시: 월 보수 300만 원 근로자의 경우

    구분계산식금액
    근로자 부담 300만 원 × 0.9% 27,000원
    사업주 부담 – 실업급여 300만 원 × 0.9% 27,000원
    사업주 부담 – 고용안정/능력개발 (150인 미만 기준) 300만 원 × 0.25% 7,500원
    총 고용보험료   61,500원

    🔍 3. 고용보험 적용 제외 대상

    아래 조건에 해당할 경우 고용보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.

    65세 이후 고용된 근로자 (단, 65세 이전 가입자는 유지 가능)
    1개월 소정근로시간 60시간 미만 (단, 3개월 이상 계속 근무 시 적용 가능)
    공무원, 교직원, 별정우체국 직원 등 특수직역연금 대상자

    👉 일용근로자는 3개월 이상 계속 근무 시 적용 가능


    🎨 4. 예술인 및 특수형태근로종사자(특고)의 고용보험료 계산법

    예술인 및 특고 직군은 일반 근로자와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.

    항목계산 방식비고
    보험료 기준 총 사례비 × (1 – 기준경비율) 예술인 기준경비율: 25%
    보험료율 1.6% (근로자 0.8% + 사업주 0.8%) 2025년 기준

    예시:

    • 사례비 200만 원 → 200만 × (1 – 0.25) = 150만
    • 고용보험료: 150만 × 1.6% = 24,000원 (근로자/사업주 각 12,000원 부담)

    👉 포인트: 예술인은 사업주가 없어도 일정 요건 충족 시 자발적으로 가입 가능


    📑 5. 고용보험료 확인 방법

    고용보험료 확인고용보험료 확인 방법고용보험료 요약 정리고용보험료 계산하는 방법

     

     

    고용보험료 납부 내역과 적용 여부는 아래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    고용·산재보험 토탈서비스: total.comwel.or.kr

    👉 로그인 후 ‘보험료 조회’ 메뉴 이용


    🎯 6. 고용보험료 요약 정리

    구분근로자사업주
    실업급여 보험료율 0.9% 0.9%
    고용안정·능력개발 부담율 X 0.25%~0.85% (규모별)
    납부 기준 월 보수 월 보수
    예술인/특고 사례비 기준, 1.6% (0.8+0.8) 동일

     


    👉 고용보험료는 단순한 공제 항목이 아닙니다. 실직, 훈련, 복귀까지 이어지는 핵심 제도이니 정확히 이해하고 대비하세요! 💼

    반응형